음식점업 창업 대비 폐업률, 127.5%에 이를 정도로 심각한 수준
단순한 사업 실패 넘어 경기 침체, 외식 소비 위축 등 외부 요인
청년층 특유의 경험 부족, 자본 부족이라는 구조적 문제 맞물려
실패 이후 재도전까지 아우르는 종합적인 지원 체계 마련 시급해
전문가들 “창업 이후 생존·회복 돕는 정책적 고민 절실하게 필요”
20~30대 자영업자들이 창업 후 가장 많이 문을 닫은 업종은 ‘음식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 창업자들은 타 연령대보다 재정적으로 더 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지방에서의 폐업률이 수도권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29일 NH농협은행과 NH농협카드는 2021년 1월부터 2024년 8월까지의 금융거래(여·수신) 정보 및 가맹점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분석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청년 자영업자의 폐업자 수와 폐업률은 모두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21년 1월 약 6000명이던 청년 폐업자 수는 2023년 8월 기준 9000명으로 늘었다. 같은 기간 폐업률도 50%에서 62%로 상승했다. 특히 2024년 1월에는 폐업률이 약 90%에 달했다. 이달 들어서는 폐업자 수가 1만2000명을 넘어서며 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업종별로는 음식점업의 폐업률이 가장 높았다.
2023년 9월부터 2024년 8월까지 1년간 청년 창업 대비 폐업률은 음식점업이 127.5%로, 청년들이 100개의 식당을 창업하는 동안 127개의 식당이 문을 닫은 셈이다. 뒤를 이어 일반주점(99.1%), 기성복점, 커피전문점, 편의점, 휴게음식점 등이 폐업률 상위 업종에 이름을 올렸다.
반면 전체 연령대에서는 슈퍼마켓이 폐업률 181.7%로 1위를 차지했다. 그 뒤로 △일반음식점(169.4%) △화장품점(138.3%) △일반주점(136.2%) △스포츠용품점(128.1%) 등이 높은 폐업률을 기록했다.
지역별로도 차이가 뚜렷했다. 청년 자영업자의 창업 대비 폐업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경남(69%)이었고, 이어 울산(68%), 광주(67%) 순이었다.
서울은 58%로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낮았다. 이는 서울에서 창업한 청년 자영업자들의 생존율이 비교적 높다는 점을 시사한다. 흥미롭게도 서울은 타 연령대의 폐업률(88%, 전국 11위)과 비교해도 현저히 낮았다.
폐업 시점과 관련해서는 창업 초기 5년 이내에 문을 닫는 비율이 68%에 달해, 타 연령층(60%)보다 8%포인트 높았다. 이는 청년 창업자들이 사업 초기 더 큰 리스크에 노출돼 있음을 보여준다.
재정 상태도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업한 청년 가맹점주의 평균 수신 잔액은 285만원으로, 정상 가맹점주(387만원)보다 26% 적었다. 반면 대출 연체금은 폐업 가맹점주가 평균 2084만원으로 정상 가맹점주(1933만원)보다 8% 높았다. 카드 연체금액은 폐업 가맹점주가 평균 362만원으로, 정상 가맹점주(275만원)보다 32% 많았다.

한 창업 전문가는 “청년 자영업자들은 창업 후 5년 안에 심각한 폐업 위기를 겪는 경우가 많다”며 “특히 음식점업의 폐업률이 127.5%에 이를 정도로 심각한 수준”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경기 침체와 외식 소비 위축 같은 외부 요인뿐 아니라, 청년층의 자본 부족과 경험 부족 등 구조적 요인이 겹친 결과”라고 분석했다.
또한 “지방의 폐업률이 수도권보다 높은 점은 지역 간 경제 격차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라며 “청년 폐업자의 낮은 수신 잔액과 높은 연체 금액을 보면 재정적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단순한 창업 장려를 넘어, 실패 이후 재도전까지 포괄하는 종합적인 지원 체계 마련이 절실하다”며 “청년 창업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고민과 함께, 창업 이후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지원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