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월급 700만원도 안 돼? 그냥 쉴래”…콧대 높은 ‘이 나라’ 어디? [수민이가 궁금해요]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 이슈플러스 , 수민이가 궁금해요

입력 : 2025-04-29 05:34:13 수정 : 2025-04-29 05:34:12

인쇄 메일 url 공유 - +

영국이 심각한 청년 실업난을 겪고 있는 가운데 “청년들이 4만 파운드(약 7667만 원, 월 641만원) 미만의 연봉을 주는 일자리에는 구직 의사가 없다”는 발언이 논란이다. 우리나라 월급여로 계산하면 연봉 1억원에 해당된다. 국내에서도 일자리를 찾지 못해 쉬고 있는 청년이 50만 명을 돌파했다.

 

영국의 지난해 3분기 기준 16~24세 니트족(구직 의사가 없는 무직자)은 94만6000명에 달한다. 게티이미지뱅크

27일(현지 시간) 데일리익스프레스 등에 따르면 취업 상담사 그레이엄 카울리는 24일 영국 상원에서 “하루 종일 인터넷에 접속하는 실업 청년들은 4만파운드(약 7667만 원) 미만 연봉으로는 일하길 거부한다”고 밝혔다.

 

이같은 발언에 상원 의원들은 믿기 어렵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이에 카울리는 “저도 그런 반응을 보였다”며 “웃으실지 모르지만, 현실은 그렇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는 “우리가 그들에게 더 일찍 다가가 '인생에서 원하는 것을 얻으려면 변화를 줘야 한다'는 생각을 심어줄 수 있다면, 그런 노력은 진정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데이비드 레너드 왓츠 영국 상원 의원은 “(젊은이들은) 어리석지 않다”며 “소득이 낮아 미래가 없다고 생각하면 젊은이들은 결국 열망을 낮출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영국 통계청(ONS)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16~24세 니트족(구직 의사가 없는 무직자)은 94만6000명에 달한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남아있던 2013년 이후 최고치다. 특히 남성 니트족이 55만 명으로 전체의 58%를 차지했다.

 

니트족 대부분(59만5000명)은 구직 활동 자체를 포기한 비경제활동인구다. 실업 상태지만 구직 활동을 이어가는 청년은 39만2000명에 그친다.

 

서울시 청년일자리센터에서 직원이 일정을 확인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편 국내에서도 지난해 원하는 일자리를 찾지 못해 특별한 일을 하지 않고 쉰 만 15세 이상 30세 미만 청년이 42만 1000명에 달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8일 발간한 ‘최근 청년 고용시장의 3가지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쉬었음’ 청년(만 15세 이상 30세 미만)은 42만 1000명으로 2022년부터 2년 연속 늘었다. 올해 2월 기준으로는 50만 명을 돌파했다.

 

주된 사유는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움’이다. 올해 2월 쉬었음 청년 50만 4000명 중 71.4%인 36만 명은 취업 경험이 있던 것으로 나타났다.


김기환 기자 kkh@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
  • 조이현 '청순 매력의 정석'
  • 에스파 지젤 '반가운 손인사'
  • VVS 지우 '해맑은 미소'